8월 14일 목요일,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조선일보입니다. <br /> <br />무의미한 연명의료를 중단하겠다고 서명한사람이 300만 명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연명의료 결정법, '존엄사법'이라고도 불리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의료 현장에선 유명무실하단 지적이 나오는데 왜 그런 건지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고 서명한 환자의임종이 다가왔다고 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만약 가족들이 "살려내라"고 하면 병원 입장에선 치료를 안 할 수가 없는 노릇입니다. <br /> <br />환자는 본인의 의사와 달리, 연명의료를 다 받고 사망하는 셈이죠. <br /> <br />의사들 입장에서 혼란을 겪는 건 연명의료 중단 시점입니다. <br /> <br />'이 사람이 곧 죽을 거다'라고 판단을 내려야 하는 건데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연명의료 중단 결정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의료비 부담도 커집니다. <br /> <br />사망일로부터 30일 이전에 연명의료를 중단한 사람은 평균 460만 원, 7~30일이전에 중단한 사람은 1,800만 원이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연명의료 결정법이 아직 현장에서 제대로 자리 잡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제도가 유명무실하게 흘러가지 않도록더 안착시킬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음 중앙일보입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이 어제 '7월 고용동향'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"아르바이트 계속 한다고 해서 경력도, 돈도 안 된다"며 그냥 쉬는 20대가 42만 명을 넘었다고 하네요. <br /> <br />이렇게 특별한 이유 없이 일이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을 '쉬었음' 인구라고 하죠. <br /> <br />지난달 기준 쉬는 20대가 42만1천 명 7월 기준 역대 가장 많습니다. <br /> <br />안 그래도 대기업 일자리가 부족한데 기업들은 경력직을 선호하고요. <br /> <br />고용 상황 자체가 나쁜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고용률은 63.4%, 실업률은 2.4%로 나타났는데요. <br /> <br />전체 취업자도 1년 전보다 17만1천 명이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어떻게 된 걸까요? <br /> <br />60대 이상 취업자는 34만 명 늘었지만 20대 취업자는 13만 명 넘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업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, 숙박음식업의고용 부진이 계속됐고요. <br /> <br />고용률은 높고 실업률은 낮은데 그냥 쉬는 청년은 많은 아이러니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노동시장에서떠나는 청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기사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보험금을 매달 연금처럼, 55살부터 당겨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'사망보험금 유동화' 내용을 한겨레신문이정리했습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채운 (jcw17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81406430888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